2015. 5. 18. 12:31ㆍ지 맥(분맥)/화원지맥
화원지맥5구간
심동-산승산-일성산- 292m봉-77번 국도-155m 호암산-270.5m 호출산- 화봉재
약 14.5km. 5시간 38분 소요. 수목이 정글처럼 무성해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걸린다.
2015년 5월 16일 토요일. 맑고 더운 날씨이나 바람이 불어 산행하기 괜찮았다. 먼거리 시야는 흐리다.
화원지맥5구간 gpx.파일
화원지맥5구간(일성산-화봉재)__20150516_1138[1].gpx
사당역 06시 40분에 산악랜드 버스는 출발하여 양재,복정, 죽전, 신갈에 경유하여 회원들을 태우고 해남으로 갑니다.
거의 5시간이나 걸려... 해남군 문내면 심동리 마을회관에 도착하여 ...
산행을 시작합니다.
화원지맥 마루금인 심동마을 뒷산
심동 뒷산에서 일성산까지 마루금을 가늠해 봅니다.
심동 마을회관
마루금은 양파밭을 가로질러 연결됩니다.
산으로 올라가며 지난 번에 구안산- 60m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과 심동마을회관을 뒤돌아 봅니다.
수렛길처럼 넓은 길로 올라가다 좌측 숲으로 갑니다.
좌측 숲으로 봉우리를 향해 올라 갑니다.
심동 뒷산 봉우리를 넘어가며 57m봉과 숯고개잔등의 산승산(영진지도)과 우측의 일성산을 바라봅니다.
수목이 울창하여 정글속입니다.
울창한 숲을 지나 "연안차씨 묘소" 위를 지나 갑니다. 묘지가 있으면 그 진입로를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연안 차씨묘소에서 내려오며 시야가 트인곳에서 왼편의 제 고향 예락리를 바라 봅니다.
숲에서 나오니 양파밭이 나옵니다.
양파 값이 안 좋은 지... 앙파가 밭에 방치되어 있습니다. 애쓰게 농사지는 게 안타갑네요
양파밭에서 우측의 갈우리와 일성산을 바라 봅니다.
마루금 좌측의 심동저수지와 건너편의 난대리입니다. 저 저수지에서 어릴적에 미역을 감고 놀았었는데...
57m봉으로 올라 갑니다.
57m봉에서 숯고개 잔둥으로 내려 갑니다.
숯고개 잔등으로 내려가며 건너편 산승산을 바라 봅니다.
숯고개 잔등으로 내려가며 난대리와 예락리를 바라 봅니다.
숯고개 잔등의 33번 2차선 도로와 산승산
윗 사진 우측 ; 도로건너 지맥 마루금과 일성산 292m봉(우)
일성산아래 고당리로 가는 33번 지방도로. 가운데 우뚝솟은 산이 일성산이다.
숯고개 잔둥의 33번 2차선도로를 건너 산승산으로 올라 간다.
도로를 건너 산승산으로 올라 간다.
산승산으로 올라가며 뒤돌아 보다.
간벌목이 쌓여있는 곳을 지나
능선에 접속하여 지맥길은 우측으로 내려가야 하나, 좌측 산승산으로 가본다.
산승산 정상이라 생각되는 곳에 이르렀으나 아무런 표지도 없다. 되돌아 간다.
되돌아 내려오니,
충평리로 가는 도로가 나온다. 33번 도로 좌측 능선이 마루금이다. 갈우리와 일성산이 보인다.
충평리 버스정류장.... 33번 도로에서 심동과 충평리로 가는 사거리이다. 소형 군내버스가 지나간다.
충평리쪽으로 와서 보리밭과 배추밭 사이 밭둑으로 간다.
보리밭과 배추밭 사이 밭둑으로 간다.
뒤돌아 본 산승산.
시골 밭둑으로 걸어가는 산사나이들....
양파 밭을 좌측으로 우회하며... 마루금 좌측의 충평리와 무고리 전경..
중앙의 산이 무고리 앞산 서승산106.4m이다.
지난 번 구간의 60m봉(좌)과 오늘 구간의 57m봉 - 산승산(영진지도)을 뒤돌아 보다.
수목이 정글이라 밭과 숲 사이로 간다. 거의 마루금에 가깝다.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 보다. 좌측 멀리 자그맣게 옥매산이 보인다. 구안산-60m봉- 57m봉 - 산승산
고추밭 가로 가니... 일하는 아주머니께서 찬찬히 바라 보신다.
숲속으로
숲에서 내려와 무우 밭 건너 축사 건물로 가야 한다.
무우 밭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축사 뒤편으로 간다. 축사안의 소들이 놀라 허둥되기 시작한다.
축사 뒷편 숲을 지나 내려가니
우측에 축사 앞 마당이 보입니다.
축사뒤편 숲에서 내려와, 건너편 산으로 갑니다.
밭을 건너 숲으로 올라 갑니다.
전봇대가 세워진 봉우리를 넘어가니 담배밭이 나옵니다.
담배밭을 가로질러 갑니다.
담배밭을 가로질러 숲으로 들어 갑니다.
묘지를 지나
편백나무 숲에서 내려가니
시멘트 도로곁 묘지와 담배밭이 나옵니다. 저 산이 60m봉인가 봅니다.
담배밭을 가로 질러 60m봉으로 갑니다.
60m봉을 넘어가니 갈우리에서 장평리로 가는 2차선 도로와 75m봉이 보입니다. 뒤편은 일성산 능선입니다.
위사진 좌측 : 89m봉(중앙)과 일성산 능선(우측)
마루금은 2차선 도로에서 우측 75m봉으로 올라가... 2차선 도로로 다시 내려와 좌측 89m봉으로 건너 갑니다.
2차선 도로 우측 : 송전탑이 있는 75m봉이 화원지맥 마루금입니다.
2차선 도로 우측의 75m봉은 생략하기로 합니다.
신창리 - 갈우리에서 화원 장평리로 가는 2차선 도로 표지판 아래에 있는 수준점.
도로 표지판 아래에 있는 수준점을 카메라에 담고있는 동료들....뒷편으로 300m가면 갈우리 사거리이다.
2차선 도로 우측의 75m봉은 생략하고, 도로로 쭉 가서 좌측의 89m봉을 올라 가기로 한다.
좌측 도로 정면에 보이는 산은 일성산 292m봉이다.
도로 좌측의 89m봉과 일성산 능선
2차선 도로 좌측의 올라가야 할 89m봉
좌측의 89m봉으로 올라간다.
일부 동료들은 89m봉을 올라가지 않고 일성산으로 바로 도로를 따라 가고있다.
89봉으로 올라가며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 봅니다.
뒤돌아 본, 2차선 도로 우측의 75m 봉
89m봉으로
우거진 수목을 헤치며 올라 온 89m봉.
89m봉을 넘어가니 개간을 해서 전망이 좋습니다. 개초리저수지와 화봉재 곁 270.5m 호출산 능선이 보인다.
89m봉을 넘어가니 .... 개초리(낭초)저수지와 화봉재 곁 270.5m 호출산 - 일성산 292m봉
89m봉을 넘어가니 ... 일성산 능선(292m봉(좌)- 일성산 정상 335.1m)이 훤히 보입니다.
89m봉을 뒤돌아보다.
다시 갈우-장평간 2차선 도로와 가야 할 동산 38.5m봉과 일성산 능선(292m봉(좌)- 일성산 정상 335.1m)
일성산 아래 고당리 방향
2차선 도로를 건너 동산 38.5m으로 가는 모습
동산 38.5m으로 가는 전경
다시 2차선 도로를 건너 동산 38.5m으로 가며 89m봉을 뒤돌아 봅니다.
묘지를 지나
동산 38.5m에 도착합니다.
동산 38.5m 정상
동산 38.5m 정상에서 송전탑 방향으로 내려 갑니다. 고당리 방향으로....
고당리 방향 저 집 뒷산으로 가서 좌측으로 내려가면 고당리에서 화원으로 가는 2차선 도로가 나온다.
농가 주택이 있는 사거리에 다달아 고평리 앞산 호암산135m을 바라봅니다. 신창리 뒷산이기도....
주택 뒷편 산은 생략하고 2차선 도로로 바로 갑니다.
2차선 도로를 건너
고당 - 개초리 간 2차선 도로 곁에 달려있는 "방죽재" '?' 표지
시골에서는 저수지를 방죽이라 했다. 방죽곁 시멘트도로로 가서 일성산 우측 능선으로 가야 한다.
밀보리밭에서 바라 본 올라가야 할 일성산 우측 능선
일성산을 향해 시멘트길로 계속 갑니다.
지나 온 89m봉 - 동산 38.5m의 지맥길을 뒤돌아 봅니다.
일성산을 향해 시멘트길로 계속 갑니다. 우측 소나무 숲아래에 있는 천주교 교우 묘(아래 사진)
우측 소나무 숲아래에 있는 천주교 교우 묘
수렛 길로 올라가서
이 묘지 위에서 우측으로 갑니다.
묘지에서 우측 숲으로 가니 길도 없고 수목이 울창합니다.
고당리에서 올라오는 등산로와 만나기 위해 우측방향으로 비스듬히 올라갑니다.
가파르게 올라 갑니다. 나무아래 잡목은 그렇게 심하지 않아 다행입니다.
암반이 나오니 우측으로 우회하여 올라 갑니다.
가파르게 올라오는 모습
삼나무 조림지를 지나 가니
고당리 일성저수지에서 올라 오는 등산로와 만납니다. 묘지에서 17분 정도 힘들게 올라왔습니다.
고당리 일성저수지에서 올라 오는 등산로와 접속하는 곳을 뒤돌아 봅니다.
일성산 주 능선에 올라와서 200m정도 떨어진 정상을 다녀와야 합니다.
일성산 정상으로 향하는 길의 울창한 숲
일성산 정상으로 가며 ... 북쪽 화원면 방향을 바라봅니다.
일성산 정상으로 가며... 북쪽 화원면 방향을 바라봅니다.... 금호호와 지령산도 보입니다.
지령산(288.8m; 좌) 과 금호도 금성산 (186.3m; 우)를 당겨봅니다. 목포대교도 아스라히 보입니다.
일성산 정상 ... 무인산불감시탑
일성산 정상
일성산 정상에서 바라 본 화원지맥 마지막 구간의 전경
일성산 정상에서 우측으로 한 바퀴 빙 둘러 봅니다. 윗사진 우측 - 화원 방향
일성산 정상에서... 지령산. 금호도 금성산. 금호호 전경
일성산 정상에서... 금호도 우측 해남군 산이면 방향
일성산 정상에서...산이면과 금호호 황산면 방향
일성산 정상에서 금호호와 황산면 문내면 방향...멀리 옥매산이 자그맣게 보인다.
일성산 정상에서 ... 옥매산과 진도 첨찰산과 우수영 방향
일성산 정상에서... 고당리 문내초교, 영명중학교와 호암산135m과 옥매산을 당겨보다.
일성산 정상에서... 진도 첨찰산과 우수영 방향
일성산 정상
일성산 정상
일성산 정상
일성산 정상에서 내 고향 예락리와 임하도를 당겨보다.
일성산 정상에서..... 지령산과 금호도사이에 목포대교가 보인다.
일성산 정상에서 근 40여년만에 고향땅의 조망을 즐기고 되돌아 가다.
일성산 정상의 숲
나무 그늘에 앉아 점심을 간단히 먹고 .....
가파르게 올라 온 만큼 급경사로 내려 갑니다.
급경사로 내려와 주 능선으로 가야 할 일성산의 292m봉을 바라 봅니다.
일성산 주 능선 주위는 두릅나무 밭입니다.
292m봉으로 가는 일성산 주능선
292m봉으로 가는 일성산 주능선에서 일성산 정상을 뒤돌아 봅니다.
292m봉으로 가는 일성산 주능선상에 있는 입석바위가 보인다.
입석바위
입석바위
입석바위을 뒤돌아보다.
292m봉에 다다릅니다.
292m봉
292m봉 정상에서 떠나며...
292m봉에서 나오니 전망좋은 곳이 바로 곁에 있다.
전망대에서..... 옥매산 방향에서 우측으로 둘러 봅니다.
진도와 우수영 방향
문내면 예락리 . 무고리와 개초리 방죽(지도상 : 낭초 저수지)방향
개초리 저수지(낭초저수지) 와 화봉리 호출산 방향... 바다 건너 신안군 장산도
화봉재까지 가야 할 마루금 능선을 짚어보다.호암산-178봉-270.5m호출산-화봉재-초봉골산-사동고개 방향
가야 할 지맥길 154m(일성산)-호암산-178봉-270.5m호출산-화봉재- 초봉골산-사동고개 방향
화원면 소재지 청룡리 방향... 운거산과 지령산등이 보인다. 화원지맥 끝자락도....
조망바위에서 내려와 뒤돌아 보다.
바위지대로 가파르게 내려갑니다.
너덜지대도 지나고
임도가 나타납니다. 성산리와 장춘리를 잇는 임도인가 봅니다.
임도에서 292봉 방향을 뒤돌아 봅니다.
임도에서 올라 오니 송전탑을 세울때 만들었던 도로인지 길은 좋습니다.
좌측으로 갑니다.
송전탑을 향하여 올라 갑니다.
154m봉의 김해김씨 묘소
154m봉의 송전탑
송전탑아래에서 77번 국도를 건너 155m봉 호암산-178m봉-213m봉-호출산 270.4m까지 마루금을 짚어보다.
윗 사진 우측 77번 국도와 화원면소재지 청룡리 방향... 지령산과 금호호.
송전탑에서 내려가는 길은 오늘 최악의 숲길입니다. 숲이 울창하고 길도 없었습니다.
울창한 숲을 헤치며 내려오니 이동통신탑이 있습니다.
이동통신탑을 만들 때 생긴 도로로 가면 편하나 ... 너무 돌아 갑니다. 그래도 그 길로 가야 합니다.
이동통신탑에서 직진으로 치고 내려가니 완전히 정글 속입니다.
4-5분 정도 울창한 숲을 헤치며 내려갑니다.
울창한 숲에서 나오니 밭과 개 사육장이 나타납니다.
이동통신탑 진입도로로 내려오는 선두그룹을 개사육장위에서 만납니다.
개사육장의 개들의 사열을 받으며 내려갑니다. 엄청 짖습니다.
77번 국도를 건너야 합니다.
차량이 뜸한 틈을 이용하여 도로를 건너갑니다.
77번 국도
77번 국도를 건너 조경작업을 한 진입도로로 올라갑니다.
77번 국도를 건너 올라가면서... 지나 온 154m봉 송전탑에서 내려온 오늘 최악의 숲속을 뒤돌아봅니다.
조경작업을 한 진입도로로 올라간다.
무슨 건물을 지을려나....
절개지로 올라가야 합니다.
절개지로 올라가며 뒤돌아 보다.
절개지로 오른다. 이곳도 건물을 지으면 막힐 것 같습니다.
절개지 꼭대기에 올라....
절개지 꼭대기에 올라...뒤돌아 봅니다. 154m봉에서 내려와 77번국도를 건너 온 곳을...
절개지 꼭대기에 올라...개초리(낭초) 저수지 방향
숲이 우거져 좌측의 절개지쪽으로 가다가 우측 숲속으로 들어 갑니다.
숲속으로 들어 갑니다.
숲속을 통과하니... 고추밭이 나오고...저 건물은 개 사육장입니다.
고추밭, 개사육장 뒷편 호암산 155m...개 사육장 좌측 능선에 올라 호암산에 올라 되돌아 갑니다.
밭을 지나 능선에 올라 호암산에 갔다가 되돌아올 것입니다.
고추밭 가를 지나가면서...절개지에서 넘어 온 숲속을 뒤돌아 봅니다.
밭가로 가서 숲속으로 들어 갑니다.
숲속으로 들어 갑니다.
지나 온 길을 뒤돌아 봅니다.
빽빽한 정글 숲속으로 들어 갑니다.
우왕좌왕하다 빽빽한 정글 숲속을 통과합니다.
숲속의 봉우리를 넘어가니
우측의 개사육장에서 올라오는 임도가 나타납니다.
임도에서 좌측으로 가서
우측 능선으로 올라 갑니다.
숲속을 넘어와 임도로 오는 풍경을 뒤돌아 보다.
임도로 계속가면 흑돼지 방목장 - 이목리 마을입니다.
능선으로 올라 갑니다.
울창한 정글 속으로 들어갑니다.
울창한 정글 속으로
호암산 능선에 접속합니다. 호암산에 다녀 오기로 합니다. 좌측 능선으로 곧장 가도 됩니다.
호암산으로 가며 되돌아 와서 가야 할 178m - 270.5m봉 호출산 능선을 본다. 우측 신덕저수지이다.
호암산 155m에 다다릅니다.
호암산 155m봉 정상.... 아무런 표지도 없다. 되돌아 갑니다.
되돌아 가며 송전탑에서 가야 할 178m-213m-270.5m 호출산 능선을 바라보다. 우측은 신덕저수지이다.
호암산에서 지맥길로 되돌아 와서 화봉재 방향으로 갑니다.
안부 고개를 통과합니다.
오르막 길...생각보다 길은 험하지 않습니다.
잡목 숲을 지나
178m봉으로 올라 갑니다.
178m봉
178m봉 전망좋은 곳에서 개초리 농장을 바라 봅니다.
우수영과 진도 첨찰산, 진도대교를 당겨봅니다.
예락리와 임하도, 진도를 당겨 봅니다.임하도 다리도 보입니다.
178m봉 전경
칡넝쿨이 무성한 곳을 올라 갑니다.
213m봉에 다다릅니다.
213m봉
가야 할 270.5m 입니다.
울창한 숲속이나 길은 생각보다 좋은 편입니다.
270.5m봉의 오름길
울창한 숲이 정말 좋습니다... 270.5m봉에 올라 왔습니다.
270.5m 호출산
호출산을 지나... 수박을 먹고 갑니다.
전망 좋은 곳에서
궁항리 방향과 신안군 장산도 방향을 바라 봅니다.
화봉리 방향
화봉리 화봉산 166m과 가야 할 177m봉 능선을 바라 봅니다.
다음 구간에 가야 할 215m 초봉골산과 화원지맥의 끝자락
내려 온 바위을 뒤돌아 봅니다.
오늘 마지막으로 올라 가야 할 177m봉...177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가면 화봉재입니다.
좌측에 화봉재가 보입니다.
오늘 마지막 봉우리 175m봉입니다. 힘들면 임도에서 우측으로 가도 화봉재가 나옵니다.
임도에 내려 옵니다. 우측으로 가면 바로 화봉재로 갑니다.
임도에서 우측으로 가면 화봉재로 바로 갑니다. 175봉을 올라가지않고...
175봉으로 올라가며 ... 호출산을 뒤돌아 봅니다.
175m봉 급경사 오름길에 숲이 무성합니다.
177m봉 정상.... 우측으로 팍 꺽어 내려 갑니다.
우측으로 팍 꺽은 175봉을 뒤돌아 봅니다.
수목은 여전히 무성합니다.
이장해 간 묘지 터를 지나 갑니다.
숲을 헤치며 내려가니
뒤엉킨 간벌목이 나타나고
화봉재에 다다릅니다.
절개지 급경사로 내려갑니다.
화봉재
화봉재
화봉재로 내려온 도로 절개지
휴게소에서 페트병에 담아 온 물로 땀을 씻고
산악회 제공 카레덮밥으로 식사를 하고 ......후미가 마무리 할때까지 휴식시간을 갖습니다.
270.5m봉에서 내려와 임도로 와도 되나 우측의 175m봉으로 올라가서 화봉재로 내려왔다.
270.5m봉을 배경으로 ....
서울로 가며.....목포대교에서 해양대학교과 유달산을 바라보다.
'지 맥(분맥) > 화원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원지맥6구간(화봉재-운거산-육덕산-금굴산-매봉산-깃대봉-화원땅끝 수류미 등대) (0) | 2015.06.02 |
---|---|
화원지맥4구간(원호육교-수장산-민산-황산면-덤박바위(돈박산)-옥매산-문내동초교-구안산-심동) (0) | 2015.05.06 |
화원지맥3구간(806번 도로-흰재-성산-형제봉-국사봉-18번국도-18번 구도로-송호마을 표지석) (0) | 2015.04.19 |
화원지맥2구간(금강재-419삼면봉-죽산성-금강산-아침재-뚜드럭재-역마산-용전리 용반마을-806지방도) (0) | 2015.04.09 |
화원지맥1구간(첨봉-바람재-건들재-덕음산-우슬치-만대산-금강재-금강골-금강저수지) (0) | 201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