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수지맥1구간(광천역-관음사-꿀꿀이봉-수리봉-아차산-던목고개-오서산-금북정맥 접속-금자봉-공덕고개-봉수지맥 분기점-기러기재-숫고개)

2018. 4. 4. 07:00지 맥(분맥)/봉수지맥


봉수지맥(鳳首枝脈)은 ?  


안성 칠장산(492.4m) 남쪽 300m지점에서 분기한 금북정맥이 남서진하며 서운산(547m),성거산(579m),봉수산(525m)등을 일구며 150여 km를 달려와 백월산(560m)에서 한줄기는 남진하며 성태산(624m),월명산(544m),오석산(127m)등을 일구며 70km를 달려가 용당정에 이르며 신산경표의 호서정맥을 만들고, 또 한줄기는 북서진하여 다시 130km를 가면서 오서산(791m),가야산(678m),지령산(220m)등을 일구고 안흥해안에 몸을 담그는 금북정맥을 낳는다.

 

봉수지맥(鳳首枝脈)은 이 분기점인 백월산(560m)에서 북쪽으로 10.9km 떨어진 오서산(烏棲山.791m)에서 북으로 약 3.2km 떨어진 공덕고개 동쪽의 370m봉에서 금북정맥은 서북으로 가고 봉수지맥은 동북으로 갈라진다. 동북으로 올라가며 초롱산(339m ), 봉수산(483m), 팔봉산(207.4m)등을 지나서 예산군 신암면 하평리에서 삽교천에 몸을 담그며 맥을 다한다. 길이는 도상거리로  약 47.5kkm되고 지맥 서쪽으로 떨어진 물은 삽교천 본류에, 동쪽으로 떨어진 물은 무한천에 몸을 담갔다가 삽교천에 합류하여 아산만으로 들어간다. 지나는 산 중 제일 높은산인 봉수산(鳳首山.483m)의 이름을 따서 봉수지맥(鳳首枝脈)이라 부르며 무한천의 오른쪽 물막이가 된다('박종률님의 산경표를 따라서'에서).




봉수지맥 1구간


광천역-광신초교-관음사-꿀꿀이봉-수리고개-아차산-던목고개-오서산-금북정맥 접속-금자봉-공덕고개-봉수지맥분기점-내포 천주교순례길-261.1m 삼각점봉-216.1m봉-숫고개.  

약 16km(지맥 약 7km). 천천히 쉬어가며 6시간 50분 소요.


2018년 4월 3일 화요일, 영상 13~23 정도로 후텁지근한 초여름 날씨로 운무가 끼어 장거리 조망이 희미하다.

오늘은 봉수지맥 보다, 관음사-꿀꿀이봉-아차산-오서산-금북정맥-봉수지맥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더 길게 잡아 오서산에 더 비중을 둔 산행이다.


봉수지맥1구간.gpx파일

봉수지맥1구간(광천역~숫고개)__20180403_0911[1].gpx





 용산역에서 06;21분 발 익산행 무궁화호 열차를 타고 충청남도 홍성 광천역으로 간다.

  2시간 20분 정도 걸려 08시 42분에 광천역에 도착하여야 하는 데 5분 연착했단다.

   광천역에서 나오면서...남쪽으로 가야 할 아차산과 오서산을 바라보다.

  광천역에서 걸어와도 되는데, 택시(010-2073-4545)를 타고(4,000원) 폐교된 광신초교 곁 관음사로 왔다.

  관음사

  관음사 아래 약수터에서 산행채비를 하다.

  산행채비를 하고 능선으로 올라가며... 폐교된 광신초교(좌). 관음사와 광천읍을 뒤돌아보다.

    87.1m봉으로 올라가다.

   87.1m봉에서 내려가며....196.4m 꿀꿀이봉을 바라보다.


   196.4m 꿀꿀이봉으로 올라가다.

   196.4m 꿀꿀이봉

    196.4m 꿀꿀이봉의 삼각점

   196.4m 꿀꿀이봉 아래 운동시설

   196.4m 꿀꿀이봉 오른쪽으로...보령시 천북면 '보령방조제'방향을 바라보다.

  운동시설 아래에서.... 가야 할 오서산을 바라보다.

  윗 사진우측 : 수리고개로 내려가서 올라가야 할 아차산423.9m

   수리고개로 내려가다.

   수리고개

   수리고개 오른쪽에 있는 광천읍 옹암리 축사

   수리고개에서 아차산으로 올라가다.

  수리고개 이정표



  헬기장으로 올라가다.



  헬기장

    헬기장에서 내려가며...올라가야 할 302m봉을 바라보다.

  안부로 내려가서

   302m봉으로 올라가다.


    302m봉으로 올라가다.

   길쭉한 302m봉 왼편 사면으로 등산로가 나 있다. 

    홍성군의 광천읍 땅에서, 이제부터는 홍성군과 보령시 청소면의 경계로 들어간다.

  안부로 내려가서

   올라가며...302m봉을 뒤돌아보다.



  아차산으로 올라가다.


   아차산으로 올라가다.

   아차산 423.9m


   아차산 423.9m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다.

  아차산에서 던목고개로 내려가며... 올라가야 할 오서산을 바라보다.

  급경사 내리막길로 내려가다.


  던목고개로 내려가다.

    던목고개


     던목고개에서 상담주차장 방향

  던목고개에서 올라가다.


  오서산을 향하여 급경사로 올라가다.


  급경사 오름길


  정암사 갈림길을 만나 계단으로 올라간다. 정암사에서 올라 온 길은 더 급경사 오름길이다.

  정암사 갈림길 이정표

    계단으로 올라간다.


  전망대를 향하여 올라간다,

  전망대

   전망대 곁 의자에서 5분간 쉬었다 간다.

     5분간 쉬었다 출발하다.



  봉우리를 넘어가다.

   봉우리를 넘어... 뒤돌아보다.

  692m봉으로 올라간다.

  계단을 향하여 올라가며....

   윗 사진 우측 : 전망데크...예전에 왔을 땐 데크시설이 없었는데....

   계단위로 올라와서 ...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 성연저수지를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성연저수지와 서해바다 ... 운무가 끼어 희미하다.

   윗 사진 우측 :  올라 온 능선과 아차산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지나 온 수리고개 - 헬기장 - 아차산 능선과 상담주차장 방향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상담주차장 수리고개 꿀꿀이봉 광천읍내을 뒤돌아보다.

   692m봉으로 올라가다.

  아차산과 던목고개에서 올라 온 능선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광천읍내에서 올라 온 관음사-꿀꿀이봉-수리고개-헬기장에서 아차산으로 올라가는 능선. 

   윗 사진 우측 : 광천읍내와 꿀꿀이봉, 담산리 상담 중담  하담 마을을 내려다 보다.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전망대 아래에서 처녀바위 - 중담으로 내려가는 능선

   윗 사진 우측 :  올라가야 할 오서산 전망대 억새밭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에서 전망대에 이르는 억새밭 능선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에서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로 내려가는 능선

   692m봉

     692m봉의 데크길

  오서산 억새밭 전망데크로 올라간다.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에서 전망대에 이르는 억새밭 능선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에서 보령시 청소면 성연리로 내려가는 능선





  아차산과 올라 온 능선을 뒤돌아보다.

   가을에 오면 아주 멋있는 억새밭으로 올라간다.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억새밭을 바라보다.

  억새밭 전망대 데크를 당겨보다.

  처녀바위 - 중담마을로 내려가는 갈림길


  가을에 오면 억새밭이 그리 넓지는 않지만 장관일텐데.... 지금은 다 베어버렸다.

  억새밭 전망데크

  오서산 전망대 데크


    오서산 전망대 데크에서, 홍성군 장곡면 광성리와 금북정맥과 봉수지맥 분기점 방향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에서 금북정맥 갈림길로 내려가는 병풍능선

    윗 사진 우측 : 오서산 정상으로 가는 주능선

   오서산 정상을 향하여 억새밭 능선으로 간다.

   윗 사진 우측 : 보령시 성연저수지

   윗 사진 우측 :  보령시 청소면과 아차산에서 올라 온 능선

   윗 사진 우측 :  692m봉에서 억새밭으로 올라 온 능선

    윗 사진 우측 :  억새밭과 오서산 전망데크를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가느다란 금북정맥 신풍고개 마루금 방향, 그 뒤편으로 봉수지맥이 초롱산 봉수산으로 간다.

   윗 사진 우측 :  병풍능선과 금북정맥 봉수지맥 분기점 방향





  전망데크와 억새밭을 뒤돌아보다.

  헬기장과 오서산 정상을 향하여 간다.

  헬기장에서 정상을 향하여 간다.

   윗 사진 좌측 ; 오서산 정상에서 금북정맥으로 내려가는 병풍능선

   윗 사진 좌측 ; 봉수지맥과 금북정맥 광성리를 바라보다.

  쉰질바위 갈림길 이정표

   쉰질바위 갈림길을 뒤돌아보다.


  성연주차장 갈림길

   성연주차장 갈림길에서 내려가다.

   성연주차장 갈림길을 뒤돌아보다.

  홍성군과 보령시의 경계로 간다.

  한고비 올라와서...


    770m봉으로 올라가다.

   770m봉 표지.


  내원사 용문암 광성주차장 갈림길을 뒤돌아보다.

  금북정맥 공덕고개로 내려가는 갈림봉(상봉)에 도달하다.

    금북정맥 공덕고개로 내려가는 갈림봉(상봉) 이정표

  오서산 정상으로 가며... 갈림봉(상봉)을 뒤돌아보다.

  오서산 정상으로 간다.

   오서산 정상 790.7m



   오서산 정상 790.7m

   오서산 정상 790.7m

  오서산 헬기장에서 시루봉 방향으로 내려가는 능선

  오서산 정상에서, 지나 온 상봉과 억새밭 전망대을 뒤돌아보다.




   금북정맥 공덕고개로 내려가는 갈림봉(상봉)으로 되돌아가다.

   금북정맥 공덕고개로 내려가는 갈림봉(상봉)으로 되돌아왔다.


  금북정맥으로 내려가며... 갈림봉(상봉)을 뒤돌아보다.

    전망바위

   전망바위 오른쪽으로 내려가다.

   전망바위에서 .... 오서산 억새밭 전망대를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홍성군 장곡면 화계리 죽전리 장곡저수지 우측으로 가느다란 금북정맥이 홍성으로 간다.

    윗 사진 우측 : 금북정맥과 봉수지맥 분기점으로 내려가는 병풍능선

    윗 사진 우측 : 청양군 화성면 화암리 화암저수지 방향

   내려가며... 조망을 살펴 본 전망바위를 뒤돌아보다.


  계단으로 내려가다.



  내원사와 오서산 자연휴양림 갈림길로 내려왔다.

    내원사와 오서산 자연휴양림 갈림길 이정표

  594.7m봉으로 간다.

    594.7m봉

    594.7m봉에서 내려가다.


  안부로 내려와서 ... 529.8m봉으로 올라가다.

    529.8m봉

    529.8m봉에서 내려가서 금북정맥의 오서산 갈림길로 간다.

 보령시 청라면과 홍성 장곡면의 경계로 와서 금북정맥에 접속하면 청양군 화성면과 홍성군의 경계로 간다.

  금북정맥에 접속하다. 보령시 청라면과 청양군 화성면, 홍성군 장곡면 3개군 경계봉쯤이다.

  금북정맥 우수고개-은고개-스무재-백월산-성주지맥 분기점인 성태산 방향으로 가는 표시이다.

  금북정맥에 접속하여...15분 정도 쉬면서 점심과 과일을 먹고 출발하다.

  금자봉... 금북정맥 답사할 때는 없었던 표지들이 새로 설치되어 있다.


   금자봉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다.



  진달래도 만발했네...

 

  윗 사진 우측 : 마루금 오른쪽은 벌목을 했다.


  광성주차장 갈림길


  공덕고개로 내려가다.

   공덕고개

    공덕고개 이정표


  금북정맥의 봉수지맥 분기점을 향하여 간다.





    372.6m봉으로 간다.

    372.6m봉

   오룩스맵에서는  372.6m봉으로 나오는데, 395.1m이란 표지가 걸려있다.

   봉수지맥 분기점으로 올라간다.

     봉수지맥 분기점

   금북정맥은 왼쪽 홍성군 장곡면으로 내려가고, 봉수지맥은 홍성군과 청양군의 경계로 간다.


  봉수지맥 등산로가 '내포문화숲길'로 아주 말끔하게 정비되어 있다.

   367m봉


  수정리 갈림길 ...마루금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청양군 화성면 수정리 '수정 저수지'로 간다.

   

    내려가서 안부를 지나 343.2m봉으로 올라간다.

   안부를 지나 343.2m봉으로 올라간다.

   343.2m봉으로 올라간다.

     343.2m봉

   윗 사진 좌측 :  343.2m봉


    343.2m봉의 삼각점

   343.2m봉에서 내려가다.

  잘 정비된 등산로는 오른쪽 수정리로 내려가고, 마루금은 직진 잡목 숲속으로 들어간다.

   봉수지맥 마루금은 직진, 잡목 숲속으로 들어간다.

   윗 사진 우측 : 잘 정비된 등산로는 오른쪽 수정리로 내려간다.

    직진, 잡목 숲속으로 간다.


  잡목을 헤치며 기러기재로 내려가서 올라가야 할 269.5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269.5m봉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가서 천주교 순례길을 지나 가야 할 261.1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청양군 화성면 수정리 방향과 건너편 능선은 금북정맥 천마봉-오봉산-백월산 마루금

  화성면 수정리 '신리저수지'를 당겨보다. 저수지 곁에 정자가 있다.

    잡목을 헤치며 내려오니.... 기러기재로 가는 계단이 있다.

   무덤 곁으로 내려가는 데, 아주머니 두분이 나물캐러 왔다고 쉬고있다.

  기러기재로 내려가다. 

   기러기재

   기러기재 ; 주류성 4.4km, 신풍리 0.9km, 신리저수지 갈림길 이정표


    기러기재에서 계단으로 올라가다.

   

  한 고비 올라

   269.5m봉으로 올라가다.

   269.5m봉으로

   269.5m봉


   269.5m봉에서 무덤 윗 능선으로 간다.

   윗 사진 우측 : 멀리 금북정맥 천마봉 오봉산 백월산 마루금을 바라보다.

   269.5m봉에서 130m쯤 와서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조금 더 가 임도흔적을 만나 오른쪽으로 와도 된다.

     오른쪽 급경사 내림길로 내려간다.

  선답자 띠지들이 달려 있어 ... 그대로 내려간다.


  내포 천주교 순례길로 내려가서 ... 올라가야 할 261.1m 삼각점봉

  임도흔적으로 내려와서 뒤돌아보다.

   임도로 내려간다.


  '내포문화숲길-백제부흥군길17'이정표

  다락골 내포 천주교 순례길


     다락골 내포 천주교 순례길과 269.5m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다락골 내포 천주교 순례길에서 올라가다.

    269.5m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자그마한 봉우리를 넘어

  재(고개)로 내려가다.

  재(고개)

  재(고개)에서 올라가다.

  66번 송전탑을 지나

  봉우리로 올라가다.

   봉우리

   봉우리에서 왼쪽으로 간다.

   261.1m봉을 향하여 올라간다.


  마루금 오른쪽은 벌목지로 묘목이 심겨저 있다.

     261.1m봉을 향하여 올라간다.

  윗 사진 우측 ; 건너편 능선은 금북정맥 금박산에서 흘러내린 334m봉 - 천마봉 422.1m 마루금인 것 같다.

   윗 사진 우측 ; 금북정맥  천마봉 422.1m - 오봉산501.7m -공덕재 - 백월산 575.6m, 멀리 희미한 성태산

  윗 사진 우측 ; 멀리 희미한 성태산632m앞에 금북정맥 백월산-스므재-우수고개-오서산으로 가는 마루금

   윗 사진 우측 ; 오서산에서 걸어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261.1m봉을 향하여 올라간다.

   윗 사진 우측 : 청양군 화성면과 금북정맥 금박산에서 흘러내린 334m삼각점봉 - 천마봉 422.1m 마루금

   윗 사진 우측 : 청양군 화성면과 금북정맥 천마봉422.1m-오봉산501.7m-공덕재-백월산 575.6m 마루금  

   261.1m봉으로 올라간다.



   261.1m봉으로 올라간다.

     261.1m 삼각점봉

    261.1m봉의 삼각점


     261.1m봉에서  왼쪽으로 간다. 청양군과의 경계가 끝나고  홍성군 장곡면 속으로 온전히 들어간다.


  마루금 오른쪽에 임도흔적이 지나간다.


  봉우리를 넘어

  오른쪽으로 내려가면 임도가 나온다.

  임도로 내려가다.

  임도로 건너 주류성 방향 능선으로 올라간다.

  임도를 뒤돌아보다.


  자그마한 봉우리 오른쪽으로 '내포문화숲길'이 나 있다.

   자그마한 봉우리 오른쪽으로 와서.... 자그마한 봉우리를 뒤돌아보다.





  69번 송전탑을 지나가다.


  벌목지 임도를 건너간다.

   임도를 건너 벌목지 능선 201m봉으로 올라간다.

    벌목지 능선 201m봉으로 올라가서 ...

   윗 사진 우측 : 201m봉으로 올라가서 오른쪽 능선으로간다.

  벌목지 능선으로 올라가며... 지나 온 261.1m삼각점봉을 뒤돌아보다.

    윗사진 우측 : 201m봉으로 올라가며...오서산에서 걸어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201m봉으로 올라가다.

    201m봉으로 올라가다.

    201m봉에서 ...홍성군 장곡면 옥계리 '홍성축협 생축 사업장'과 237.7m봉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지나 온 261.1m삼각점봉을 뒤돌아보다.

     201m봉에서 오른쪽 벌목지 능선으로 간다.


  오서산과 홍성군 장곡면 광성리 신풍리 방향, 가느다란 금북정맥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장곡면에서 홍성읍으로 가는 가느다란 금북정맥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장곡면에서 홍성읍 백월산으로 가는 가느다란 금북정맥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홍성읍내 방향

   윗 사진 우측

   70번 송전탑으로 간다.

  벌목지에서 216.1m봉으로 간다.

   윗 사진 우측 ; 오른쪽 벌목지와 237.7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홍성군 장곡면 옥계리 '홍성축협 생축 사업장'과 237.7m봉 - 지나 온 261.1m삼각점봉

   윗 사진 우측 ; 오서산에서 걸어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오서산에서 걸어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70번 송전탑을 뒤돌아보다.

   216.1m봉.... '쉼터와 내포문화숲길 백제부흥군길24' 표지가 있다.

  '내포문화숲길'은 오른쪽 잘 정비된 등산로로 별티고개를 향해 내려가고, 마루금은 왼쪽 잡목속으로 간다.

   216.1m봉 쉼터에서 간식을 먹고, 쉬었다 간다.

   216.1m봉 쉼터에서 6분정도 쉬고 ... 잡목 속 마루금으로 간다.

  잡목 속 능선으로 내려가니... 다시 벌목지 능선이 나온다.

  편백나무가 심겨진 벌목지 능선으로 내려간다.

   벌목지 능선으로 내려가며... 홍성군 장곡면 산성리 산성213.6m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산성213.6m(좌) - 대현리 대부동마을 뒷편176m봉 - 장곡산성

    윗 사진 우측 :  대현리 대부동마을 뒷편 장곡산성 능선 -  별티고개

    윗 사진 우측 : 216.1m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216.1m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벌목지 능선으로 가며... 숫고개를 지나 대현리 마을 왼편,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편백나무 묘목이 심겨진 벌목지에서 160m봉으로 간다.

   160m봉

   160m봉에서 개활지로 내려가다.

  개활지에서 ... 숫고개를 지나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숫고개를 지나 가야 할 마루금과 산성213.6m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산성213.6m - 대현리 대부동마을 - 176m삼각점봉

   윗 사진 우측 : 대현리 대부동마을 - 176m삼각점봉 - 장곡산성 능선

   윗 사진 우측 : 장곡산성 능선 - 별티고개

   윗 사진 우측 : 내려 온 160m봉을 뒤돌아보다.

  개활지에서 오솔길로 내려간다.

  오솔길은 오른쪽으로 내려가고, 마루금은 직진 능선으로 간다.

  능선으로 가서

   96번도로(홍남동로) 숫고개로 내려간다.


    96번도로(홍남동로) 숫고개

     96번도로(홍남동로) 숫고개

  96번도로(홍남동로) 숫고개...왼쪽에는 '상송2리', 오른쪽에는 거의 같은 거리에 '대현'버스정류장이 있다.

    왼쪽에 있는 '상송2리' 버스정류장으로 간다.

  숫고개를 뒤돌아보다.

  '상송2리' 버스정류장...숫고개로 내려오기 바로 전에 버스는 지나갔고, 마침 빈 택시가 오기에 바로 탄다.

  행장을 정리하기도 전에 택시가 와서, 광천역으로 빨리 왔다(택시비 11,000).

 

  16시 55분 용산행 기차표를 끊고, 광천역 화장실에서 간략하게 씻고 속 옷만 갈아입다.

   16시 55분 용산행 열차를 타고 귀경하다.


봉수지맥1구간(광천역~숫고개)__20180403_0911[1].gpx
0.0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