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8. 11. 21:56ㆍ지 맥(분맥)/관악지맥
관악지맥 (冠岳枝脈)은 ?
관악지맥 (冠岳枝脈)은 한남정맥 광교산을 지나 백운산(566m)에서 북쪽으로 분기하여 바라산(427m). 학현(하오고개 ; 서울 외곽순환고속도로), 국사봉(542m). 청계산(615m →0.9), 매봉(369m), 과천-의왕간 고속화도로, 찬우물 고개, 관악산(632m)을 넘어 서울 도심지역으로 지나간다. 관악산에서 관악구 남현동과 봉천동 경계로 내려가 남부순환도로 동물이동통로를 건너 봉천동과 사당동의 경계로 가서 까치산 근린공원, 국립묘지 뒷산인 서달산(176m), 신길동 서울지방병무청, 문래역을 지나 성산대교 아래 안양천이 한강과 만나는 지점까지 이르는 도상거리 34.8km되는 산줄기다.
관악지맥 1구간
백운사 입구-백운산-한남정맥의 관악지맥 분기점-백운산-고분재-바라산-바라재-우담산-학현(하오고개)-국사봉-이수봉-청계산 갈림길-정고개-매봉(응봉)-과천 의왕간 고속화도로-찬우물고개.
오룩스맵 상 18.76km. 천천히 쉬어가며 7시간 55분 소요.
2017년 8월9일 수요일. 폭염주의보가 나오는 무더운 여름 날씨이다.
관악지맥1구간 . gpx파일
관악지맥1구간(백운산 입구~찬우물고개)__20170809_0739[1].gpx
사당역 4번 출구 광역버스 정류장에서 07시에 만나, 바로 출발하는 7770번 버스를 타고 의왕톨게이트로 간다. 거의 모든 광역버스가 의왕톨게이트로 가므로 시간에 맞는대로 타면 된다.
의왕톨게이트 버스정류장에서 우리를 내려주고 버스는 수원역으로 간다.
의왕-과천간 고속화도로 '의왕톨게이트'버스정류장에서 내려 '고천체육공원'버스정류장으로 와서 '마을 01버스' 또는 '87번 버스'를 타고 백운사입구로 간다.
백운사 입구 주차장
백운사 입구
산행채비를 하다.
백운사 입구에서 산행채비를 하고 백운사로 출발하며.....
백운사로 올라가는 길
백운사로 올라가다.
백운사 입구
윗 사진 우측 : 백운사 입구에 등산로 초입
백운사 전경
백운사 대웅전
백운사를 둘러보고 밖으로 나가다.
백운사 등산로 입구에 마을 어르신들이 더위를 피해 이른 아침부터 앉아 담소를 나누고 있다.
약수터도 있고
계단 끝 능선으로 올라 우측 백운산으로 간다.
백운산 정상석... 백운산 정상 566m은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다.
백운산 전망대에서 한남정맥 지지대고개와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사진 우측 : 의왕시 고천동 왕곡천-백운계곡에서 올라 온 능선과 멀리 안양시와 수리산이 희미하다.
백운산 표지석
가방을 벗어놓고 한남정맥상의 관악지맥 분기점으로 간다.
군부대 철조망을 한 바퀴 돌아 올 것이다.
한남정맥으로 간다.
군부대 철조망 곁으로 간다.
한남정맥에 접속하다.
한남정맥의 관악지맥 분기점
이정표 건너편에 있는 수원둘레길 표지.
마루금과 백운산 정상 566m은 군부대가 차지하고 있어 철조망 가로 한 바퀴 돌아가보기로 한다.
한남정맥은 직좌로 내려간다. 지지대 고개를 향하여....
군부대 철조망을 향하여 우측 으로 간다.
군부대 철조망 곁으로 간다.
군부대를 한바퀴 돌아 가방을 벗어놓은 백운산 표지석이 있는 정자 쉼터로 돌아왔다.
백운산 표지석에서 우측 방향으로 내려간다.
안부를 지나
462.2m봉으로 올라가다.
462.2m봉
462.2m봉 능선
462.2m봉 능선에서 내려가다.
안부를 지나
422.5m봉으로 올라가다.
422.5m봉
내려가며... 올라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352.7m봉
고분재
고분재의 이정표
339.8m봉
339.8m봉에서 내려가다.
바라산으로 올라가다.
전망대에서 모락산 385.8m과 백운저수지를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능선
바라산 정상
모락산 385.8m과 백운저수지 ...저수지 왼편으로 아파트단지 신축과 개발이 한창이다.
윗 사진 우측 : 백운저수지 뒤편으로 운무속에 관악산 능선이 아련히 보인다.
윗 사진 우측 : 가야 할 마루금
바라산 정상이 테크쉼터
백운 저수지에서 올라오는 바라산 자연휴양림의 시설들....
바라산 정상 데크에서 내려가다.
365희망 계단을 향하여 왼쪽으로 내려간다.
365희망 계단을 향하여 내려간다.
'바라 365희망계단'
'바라 365희망계단'
소한. 대한 등 24절기 안내판을 보며... '바라 365희망계단'으로 내려가다.
24절기 중 '소한' 안내판
이렇게 24절기 모두의 의미와 내용을 쓴 안내판이 계단에 걸려있다.
'바라 365희망계단'으로 내려와서....계단을 뒤돌아보다.
바라재로 간다.
바라재로 내려가다.
바라재
바라재에 있는 이정표
바라재에 있는 이정표
백운호수(저수지) 갈림길
백운호수(저수지) 갈림길 이정표
397.6m봉으로 올라가다.
396.7m봉 직전에서 우측으로 꺽어 간다.
396.7m봉
404.5m봉을 넘어 '424.2m 우담산'으로 간다.
'424.2m 우담산'으로 올라간다.
'424.2m 우담산'... 잠깐 쉬었다 간다.
'424.2m 우담산'의 이정표들...
'424.2m 우담산'에서 왼쪽으로 꺽어 내려가다.
367.1m봉으로 올라가다.
관악지맥 마루금과 의왕시와 성남시, 과천시 경계가 일치한다.
367.1m봉으로 올라가다.
367.1m봉에서 가야할 하오고개와 국사봉을 바라보다.
367.1m봉
367.1m봉
가야 할 367.2m봉을 바라보다. 367.2m봉에서 내려가면 하오고개이다.
367.2m봉으로 올라가다.
367.2m봉
367.2m봉에서 서울외곽순환도로 청계요금소와 하우현 성당을 바라보다. 우측능선이 가야 할 매봉이다.
367.2m봉의 통신탑
367.2m봉
하오고개(학현)으로 내려가다.
하우고개로 내려가다.
성남 누비길 개념도
하오고개로 내려가며...뒤돌아보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위에 있는 하오고개 다리와 가야 할 국사봉 이수봉 청계산 마루금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청계요금소와 하우현 성당 방향
하오고개를 뒤돌아보다.
묘지 곁으로 올라가다.
송전탑 봉우리로 올라가다.
송전탑 봉우리
송전탑 봉우리를 지나 쉬었다 간다.
390.6m봉으로 올라가다.
390.6m봉
390.6m봉에서 오른쪽으로 내려간다.
안부로 내려와서
안부에서 올라가다.
국사봉을 향하여 올라가다.
국사봉으로 올라가다.
국사봉 아래에 있는 천막
국사봉
국사봉에서 ... 가야 할 매봉(응봉) 관악산 방향을 바라보다.
국사봉에서 내려가다.
국사봉에서 내려 온 능선을 뒤돌아보다.
455.3m봉으로 올라가다.
455.3m봉
455.3m봉 능선
안부로 내려가다.
내려가며 ... 가야 할 이수봉 방향을 바라보다.
안부로 내려가서 올라가다.
청계사 갈림길
청계사 갈림길의 개념도
청계사 갈림길 이정표
495m봉으로 올라가다.
495m봉
495m봉을 뒤돌아보다.
안부를 지나 이수봉으로 올라가다.
이수봉으로 올라가다.
이수봉
이수봉
헬기장
청계산 갈림길....석기봉-청계산 정상은 우측으로 간다. 몇번 올랐으므로 생략하고 마루금으로 진행한다.
청계산 갈림길의 이정표
마루금 우측 ; 석기봉-청계산으로 가는 등산로
전망대로 내려가서
가야 할 마루금과 서울대공원 위쪽에 있는 조절저수지를 내려다보다.
윗 사진 우측 : 전망대에서 조절저수지, 서울대공원과 과천저수지를 내려다보다. 관악산이 희미하다.
윗 사진 우측 : 청계산 정상을 바라보다.
전망대에서 내려가다.
데크 계단으로 내려가다.
내려 온 암벽지대 데크계단을 뒤돌아보다.
서울대공원 철조망 곁으로 간다.
절고개로 내려가다.
절고개
절고개에서 올라가다.
388.7m봉으로 올라가다.
388.7m봉의 삼각점
388.7m봉
헬기장 아래 쉼터에서 쉬어간다.
쉬고 헬기장으로 올라간다.
헬기장
매봉으로 올라가다.
매봉으로 올라가다.
청계산 매봉(응봉)
매봉(응봉)에서 과천시를 내려다보다.
윗 사진 우측 : 과천시내와 관악산을 바라보다. 우측에 남태령으로 넘어가는 도로가 희미하다.
윗 사진 우측 ; 남태령과 우면산
윗 사진 우측 ; 문원동 뒷편으로 우면산 구룡산 대모산이 희미하게 변해버렸다.
청계산 매봉(응봉)
매봉(응봉)에서 왼편으로 90도 꺽어 내려가다.
정부과천청사역 갈림길로 내려가다.
정부과천청사역 갈림길 이정표에서 '인덕원'방향으로 간다.
349.4m봉으로 올라가다.
349.4m봉으로
349.4m봉
349.4m봉의 삼각점
349.4m 삼각점봉에서 내려가다.
312.8m봉으로 간다.
312.8m봉
312.8m봉 조망처에서 찬우물고개 방향을 바라보다.
두번째 정부과천청사역 갈림길
두번째 정부과천청사역 갈림길 이정표....인덕원역 방향으로 간다.
이미마을 방향으로 간다.
잠시 쉬었다 오는 김사장님을 뒤돌아보다.
259.2m봉으로 올라가다.
259.2m봉
214.7m봉으로 올라가다.
214.7m봉
214.7m봉에서 다시 온길로 10여m 되돌아 나가 계곡으로 내려 간듯하게 가야 하나....
214.7m봉에서 우측 능선으로 내려가니.... 마루금과 더욱 멀어진다. 내려가면 만날 줄 알았는데...
길도 희미한 능선으로 내려가다가
결국 우측 능선으로 건너가다. 무덤으로 올라가서 마루금에 접속하여 좌측으로 내려간다.
마루금에 접속하여...알바 한 부분을 뒤돌아보다. 계곡으로 내려간 듯했으나, 마루금이 뚜렸해졌다.
잡목 숲이 무성하다.
무덤으로 내려가서, 좌측으로 간다.
포장도로로 내려가서 좌측으로 간다.
포장도로로 내려와서 과천-의왕간 고속국도로 간다.
과천-의왕간 고속국도
과천-의왕간 고속국도 하부 도로로 간다. 굴다리에서 나가 우측 고속도로곁으로 가야 마루금이나 ...
우측 고속도로곁으로 가야 마루금에 접속하나... 잡목이 우거져서 그냥 도로로 가기로 한다.
편하게 도로로 간다. 우측 능선이 마루금이다,.
도로로 가며....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도로로 와서 생략한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사진상 좌측 숲속 능선이 마루금이다.
윗 사진 좌측 : 도로로 가며...생략한 마루금
윗 사진 좌측 : 생략한 마루금
윗 사진 좌측 : 도로로 가며...생략한 마루금
우측 능선이 마루금이나 도로로 간다.
도로로 가서 우측도로로 간다.
우회전하여....도로 앞에 보이는 능선이 마루금이다.
도로 우측 생략한 마루금 능선을 바라보다.
윗 사진 좌측 ; 생략한 마루금 숲
마루금에 접속하여 계속 도로로 가며 뒤돌아보다. 마루금은 자동차 우측으로 건너간다.
윗 사진 우측 : 도로로 가며 생략한 마루금
윗 사진 우측 : 도로로 가며 생략한 마루금.... 찬우물 고개로 내려간다.
과천에서 인덕원으로 가는 47번 국도로 나왔다,
버스 정류장에서 다음에 와서 진행 할 찬우물고개 마루금을 바라보다.
응봉(매봉)에서 찬우물 고개까지 마루금 개념도... 노란 색 도로로 우회하다.
개념도 윗 사진 우측 : 다음에 와서 진행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다음에 와서 진행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지하통로로 내려가서 47번 국도를 건너가다.
47번 국도 지하통로
47번 국도 지하통로에서 나가다.
찬우물고개 아래에 있는 고 김승철 중위 위령비
육군사관학교 9기생으로 이한림장군의 부관이었으며 6.25때 이 장군을 보위하다 이곳에서 전사했다고.
다음에 와서 진행할 찬우물 고개를 바라보다. 좌측 능선은 생략한 마루금이다.
찬우물고개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인덕원 전철역으로 가서 성미님을 만나 식사대접을 받다.
인덕원역 인근 매운탕집 식당 화장실에서 시원하게 냉탕을 하고 땀에 절은 옷을 갈아입다.
점심을 뜨끈 뜨근한 매운탕으로 먹고 4호선 전철로 귀경하다.
'지 맥(분맥) > 관악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악지맥 2구간(찬우물고개-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육봉능선-국기봉-팔봉능선 갈림길-관악산-579.5봉 지도바위-559.3봉 남태령 갈림길-까치고개) (0) | 2017.09.01 |
---|---|
관악지맥3구간(남부순환로 까치고개-원당고개-까치산공원-상도중-백운고개-국립 현충원-서달산-중앙대 후문-고구동산-상도터널-노들역) (0) | 2017.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