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7. 23. 19:41ㆍ지 맥(분맥)/왕령지맥
열왕-왕령지맥 이란 ?
낙동정맥에서 분기한 비슬지맥이 비슬산을 넘어 수봉산 묘봉산으로 내려오다가 천왕산에서 남쪽으로 열왕지맥을 나누고, 열왕지맥은 남진하면서 서쪽으로 낙동강을 향해 두 가닥의 산줄기를 다시 나누는데, 토평천을 사이에 두고 위쪽은 왕령지맥, 남쪽이 화왕지맥이다.
왕령지맥은 분기봉~산영재~방골재~왕령산~태백산~용산~대니산~석문산~진등산 등을 거쳐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낙동강에서 그 맥을 마감하는 도상 약32km의 산줄기다.
열왕.왕령지맥 1구간
열왕지맥의 천왕재-왕령지맥 분기점-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천왕산-왕령지맥분기점으로 복귀-산영재-방골재-왕령산-426.1m봉 산불초소-소 왕령산-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도장골길(십이고개)임도.
오룩스맵상 14.91km. 5시간 30분 소요.
2017년 7월 22일 토요일. 창녕군은 연일 영상 36도 정도로 폭염주의보가 발령되어 있다. 푹푹찌는 삼복더위에 산을 올라갈 때에는 숨이 헉헉 막힌다. 그러나 산능선에서는 시원하게 바람이 불어주고 왕령산으로 올라갈 때는 천둥번개가 요란하고 소나기가 시원하게 내려주어서 산행 할 수가 있었다.
열왕.왕령지맥1구간.gpx파일
열왕. 왕령지맥1구간(천왕재~십이리 임도)__20170722_1059[1].gpx
06시 40분에 사당역을 출발하여 양재 복정 죽전 신갈을 경유하여 회원들을 태우고 경남 창녕군으로 간다.
4시간 20분 걸려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감리 산 10-1, 열왕지맥의 천왕재에 도착하다.
윗 사진 우측 : 천왕재
천왕재의 '번지없는 주막'
천왕재 ; 밀양시 청도면과 창녕군 고암면의 경계이다. 간이화장실 뒷편 능선으로 올라가다.
'천왕재 이정표' 곁 능선으로 올라가며 산행을 시작하다.
열왕지맥으로 올라가며...'남평문씨 묘' 곁에서 화왕지맥의 관룡산- 화왕산 능선을 바라보다.
'인동장씨 묘' 곁으로 올라가다.
리본을 달고 있는 '아름다운 강산' 님
열왕지맥의 '왕령지맥 분기점'에 올라왔다. 왕령지맥은 왼쪽으로 가고, 열왕지맥은 오른쪽으로 간다.
열왕지맥의 '왕령지맥 분기점'...다음을 위해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과 천왕산에 다녀 오기로 한다.
비슬지맥의 열왕지맥분기점에 다녀 와야, 다음에 열왕지맥 산행할 때, 천왕재에서 열왕산으로 바로 출발...
왕령지맥 분기점에서 내려와서 봉우리를 넘어가며...송전탑과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을 바라보다.
고개를 지나
송전탑으로 올라가다.
송전탑 주위에 숲이 무성하게 자라 사람이 숲에 덮힌다.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 방향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밀양시 청도면 두곡리 두곡저수지와 열왕산 663.3m
윗 사진 우측 : 송전탑 뒤편으로... 천왕재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열왕지맥의 감골재와 열왕산 663.3m
열왕지맥 분기점으로 올라가다.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에 도착하다.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
비슬지맥의 열왕지맥 분기점
비슬지맥에서 조금 떨어져있는 천왕산으로 올라간다.
천왕산에 다녀 오는 선두 박대장님
천왕산 정상
천왕산 정상
천왕산에서 비슬지맥으로 되돌아 내려왔다.
송전탑으로 되돌아보다.
송전탑으로 되돌아와서 두곡저수지를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열왕지맥의 천왕재-감골재-열왕산, 그 열왕산 우측으로 화왕지맥의 관룡산-화왕산 방향
윗 사진 우측 : 되돌아 가야 할 열왕지맥의 왕령지맥 분기점
가방을 벗어 놓았던 왕령지맥 분기점에 되돌아 왔다.
열왕지맥에서 왕령지맥 산행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다. 오름길에는 숨이 헉헉 막힌다.
534.4m봉
임도로 내려가다.
임도로 내려 온 곳을 뒤돌아보다.
우측 봉우리가 마루금이나 너무 더워.... 쉽게 임도로 계속간다.
임도에서 좌측 능선으로 가서 450.7m봉으로 올라간다.
임도에서 좌측 능선으로 간다.
450.7m봉으로 올라간다.
450.7m봉
394.4m봉으로 올라가다.
394.4m봉
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묘지 윗 조망 좋은 곳에서 화왕지맥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묘지 윗 조망 좋은 곳에서 화왕지맥을 바라보다.
가파르게 올라
우측 능선으로 완만하게 547.4m 삼각점봉으로 간다.
547.4m봉으로 올라가다.
547.4m 삼각점봉
수풀이 무성한 547.4m 삼각점봉에서 나와 쉬었다 간다.
547.4m 삼각점봉에서 100m 조금 넘게 내려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급경사 내림길이다.
급경사 내림길을 뒤돌아보다.
378.4m봉으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간다.
378.4m봉 ; 좌측으로 간다.
봉우리를 넘어...
산영재로 내려가며.... 봉우리를 뒤돌아보다.
거목이 있는 산영재로 내려가다.
산영재
349.5m봉으로 올라가다.
349.5m봉으로 올라가서 왼쪽으로 간다.
349.5m봉
349.5m봉에서 왼쪽으로 내려간다.
350m봉으로 올라가다.
350m봉
387.5m봉으로 올라가다.
387.5m 삼각점봉
387.5m봉
송전탑을 지나
340.4m봉으로 올라가다.
340.4m봉에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묘지를 뒤돌아보다.
박월산 384.9m과 그 뒷편 화왕지맥의 화왕산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화왕산아래에 있는 창녕군 소재지
방골재로 내려가다.
방골재로 내려가다. 산악랜드 버스가 대기하고 있다.
방골재 ; 식수 보충과 산행을 포기 할 분들을 위해 대기중인 산악랜드 버스
윗 사진 우측 : 방골재에서 올라가서 가야 할 372m봉과 378m봉
방골재의 수준점 표시
방골재로 내려와서.... 뒤돌아보다.
방골재.... 폭염이 기승을 부려... 산행을 포기한 분들이 나타나다.
너무 더워! 산행을 포기 할 생각이 간절하나, 다음에 또 언제 오겠나?. 버스에서 식수를 보충하여 강행한다.
방골재와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340.4m봉 - 송전탑 - 387.5m 삼각점봉
윗 사진 우측 : 지나 온 387.5m 삼각점봉 - 547.4m 삼각점봉
윗 사진 우측 : 지나 온 547.4m 삼각점봉 - 열왕지맥 천왕재 와 오른쪽으로 박월산 뒤편 화왕지맥 마루금
윗 사진 우측 : 박월산 뒤편 화왕지맥 마루금의 화왕산
방골재에서 산불초소봉으로 올라가다.
산불초소가 있는 봉우리
산불초소에서 가야 할 373.1m봉 우측 372m봉과 378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372m봉과 378m봉
산불초소를 뒤돌아보다. 그 뒷편에 박월산과 화왕산이 보인다.
윗 사진 우측 : 창녕읍내 방향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 가야 할 373.1m봉 우측 372m봉
윗 사진 우측 ; 가야 할 373.1m봉 우측 372m봉과 378m봉을 바라보다.
고개를 지나
265m봉으로 올라가다.
265m봉
372m봉으로 올라가다.
372m봉
372m봉에서 우측으로 꺽어 내려간다.
가파르게 내려가서 급경사로 올라가야 할 378m봉 능선을 바라보다.
경주 최씨 묘를 지나 올라가다.
경주 최씨 묘지에서 급경사로 내려 온 372m봉을 뒤돌아보다.
378m봉을 향하여 급경사로 올라가다.
378m봉
378m봉에 올라 좌측 방향으로 간다.
멧돼지 목욕장
384.2m봉
왕령산으로 올라가는 데, 하늘이 어두어지고 천둥 번개가 치기 시작하다.
천둥 번개에 비가 내리려고 한다.
왕령산으로 올라가는 데, 소나기가 쏟아지기 시작하다. 아 ! 시원하다.
왕령산 정상.... 쏟아지는 소나기가 이렇게 반가울줄이야....
418.2m봉으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내려간다.
좌측으로 내려가며...418.2m봉을 뒤돌아보다.
소나기가 내리니,,,, 디카가 물에 젖을까 촬영 빈도수를 현저히 낮추다.
426.1m 산불초소봉으로 올라가며... 창녕읍내를 바라보다.
수풀이 무성한 426.1m 산불초소봉으로 올라가다.
426.1m 산불초소봉
426.1m 봉에서 낙동강 방향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다음에 와서....가야 할 아우 왕령산, 그 뒷편으로 태백산 284.6m
윗 사진 우측 ; 아우 왕령산 262.6m - 소시랑등 236.9m - 퇴포산 268.4m - 달창 저수지
윗 사진 우측 ; 소시랑등 236.9m - 퇴포산 268.4m - 달창 저수지 - 비둘산, 비슬산
윗 사진 우측 ; 달창저수지 우측으로 비둘산 650.7m, 그 뒤편으로 비슬산 1083.4m가 있으리라...
윗 사진 우측 ; 비둘산 650.7m, 그 뒤편으로 비슬산 1083.4m가 있으리라...
426.1m 산불초소봉을 뒤돌아보다.
무성한 수풀을 헤치며 나아가서... 앞에 보이는 능선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태백산을 바라보며 내려가다.
426.1m 산불초소봉을 뒤돌아보다.
아우 왕령산 태백산을 바라보다.
가야 할 마루금과 태백산을 바라보다.
271.4m봉
비는 다시 내리기 시작하다.
아우 왕령산으로 올라가다.
아우 왕령산
아우 왕령산을 뒤돌아보다.
252.1m봉으로 올라가다.
252.1m봉
252.1m봉에서 우측으로 급경사로 내려가니 임도 절개지가 나온다.
임도로 내려와 250.9m봉으로 가려하니 선두그룹이 기다리며 임도로 탈출하란다.
252.1m봉에서 내려와서 임도에서 좌측 2차선 포장도로로 나와 ....십이리 임도를 뒤돌아보다.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산 19-1번지. 도장골길(2차선 도로)에서 산행을 마무리하다. 십이고개라 할까?
창녕군 대합면 십이리 산 19-1번지. 십이리 도장골길(2차선 도로) ; 십이고개라 할까?
'지 맥(분맥) > 왕령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령지맥3구간(구지농공단지-대구국가산업단지-대리-대니산-통신탑 활공장-임도-석문산 왕복-진등산-도동나루-도동서원) (0) | 2017.08.27 |
---|---|
왕령지맥2구간(십이리 도장골길-소시랑등-대터 성산중-5번국도-태백산-중부내륙고속도로-구지농공단지) (0) | 2017.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