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명지맥3구간(불노치-통명산-통명치-진둔치-주부산-통점재-천덕산 갈림봉-압록유원지)

2017. 5. 28. 21:08지 맥(분맥)/통명지맥

통명지맥 3구간

 

불노치-통명산-통명치-진둔치-주부산-통점재-천덕산 갈림봉-보성강과 섬진강 합수점(압록 유원지).

오룩스 맵 상 약 19km.  6시간 40분 소요.

 

2017년 5월 27일 토요일, 산악랜드 지맥팀과 함께(회비 40,000원)

무더운 초여름 날씨이나, 숲이 우거져서 햇빛을 가려주고 바람이 잘 불어주어 그렇게 많이 더운 줄 모르고 산행하다.


통명지맥3구간 .gpx파일

통명지맥3구간(불노치~압록유원지)__20170527_1025[1].gpx




 

   06시 30분 사당역 출발, 양재 죽전 신갈을 경유하여 곡성군 삼기면 근촌리 경악리 불노치로 간다.

  곡성군 삼기면 근촌리 불노치 '유풍농원' 입구에 도착하여 산행을 시작하다.

   '유풍농원 박덕은 미술관" 입구에서 산행을 시작하다.

  윗 사진 우측 :  산행을 시작하며 ...급경사로 올라가야 할 440.2m봉을 바라보다.

   호남고속도로와 함께 가는 27번 국도와 지난 번에 하산한 대명산을 뒤돌아보다.

  올라가야 할 440.2m봉 좌측으로 통명산이 보인다.

  임도 좌측; 즉 북쪽으로 반월산(좌 442.1m) 최악산(중 712.9m) 형제봉(우 657.1m)을 바라보다. 

   우측으로 통명산 등산로가 있으나, 마루금은 직진이다.


  미술관 곁으로 올라간다.

  박덕은 미술관

  마루금은 조금 더 가서 우측으로 가나...

   건물 곁으로 가서 우측으로 올라갔다.  지도 상의 눈썰매장 자리인가?

   윗 사진 우측 : 개간 된 밭(눈썰매장) 곁으로 올라간다.

  밭(눈썰매장)으로 올라가며...불노치와 대명산을 뒤돌아보다.


  가파른 급경사로 올라간다.

  급경사 오름길

  급경사 오르막에서 능선으로 올라가 좌측으로 간다. 440.2m봉으로 ...

  능선으로 올라와 좌측으로 간다. 440.2m봉으로 

   440.2m봉 ...이후 앞뒤 좌우로 빽빽하고 울창한 숲속길로 한동안 간다.


  등산로 우측에 산불초소가 있다.

  윗 사진 우측 : 산불초소

  산불초소를 지나 자그마한 봉우리와

  조금 큰 봉우리를 연속으로 올라 ....

   내려간다 

  안부로 내려가서 임도로 올라간다.

  임도로 올라간다.

임도  ; 산불감시초소 방향으로 150m쯤 가면 등산로가 있으나....

  산불감시초소 맞은 편으로 바로 올라갔다.

  임도에서 산불감시초소 건너편 절개지로 올라갔다.

  등산로도 없으나... 마루금이므로 급경사로 올라간다.

  급경사로 올라와 등산로와 접속한다.

  등산로에 접속하여... 편안한 길로 간다.

  커다란 바위 곁으로 올라간다.

  커다란 바위를 뒤돌아보다.

  커다란 바위을 지나...


  가파르게 올라간다.



  삼기면 노동리 남계 갈골로 내려가는 능선을 만나 오른쪽으로 간다.

   능선을 만나 오른쪽으로 간다.


  봉우리를 넘어

  산죽밭으로 내려가서

통명산을 향하여 올라간다.




  전망바위에 올라 통명산으로 가는 풍경을 내려다보다.

  전망바위에 올라 마루금 우측 모후지맥 756.8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조망을 살펴 본 전망바위에서 내려오다.

  더 높은 통명산 정상 조망바위에서 주위 조망을 살펴보고 있는 동료들... 

   조금 전의 조망바위와 우측에 곡성군 삼기면 원등리 방향, 반월산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통명산



   통명산

  통명산

  통명산 아래에 있는 묵은 헬기장으로 간다.

  모후지맥 갈림봉인 묵은 헬기장

   모후지맥 갈림봉인 묵은 헬기장에서 좌측으로 간다. 모후지맥은 우측으로 간다.



  또 묵은 헬기장을 통과하다.


  가야 할 694.5m봉과 699.8m봉


  등산로 좌측 봉우리인 울창한 산죽밭인 통명치 ; 등산로가 통명치 우측 사면으로 나 있어 그냥 지나친다.

  통명치 : 양천곡산-최악산-동악산 갈림봉이다.

  통명치에서 내려와서 등산로와 다시 만나다.


  마루금 우측으로 보이는 곡성군 죽곡면 신풍리의 신풍저수지


   694.5m봉

   694.5m봉의 표지


  699.8m봉으로 간다.

  699.8m봉 



  진둔치로 내려가다.




  진둔치 절개지 봉우리가 보인다.

  산불초소와

 

   삼각점을 지나

  진둔치로 내려가다.

  진둔치의 절개지 봉우리


  진둔치로 내려가며 산불감시초소을 뒤돌아보다.

  진둔치

   진둔치


  진둔치의 쉼터 



   진둔치



   진둔치에서 계단으로 올라가다.





  진둔치에서 계단으로 올라와서 마루금에 접속하여 좌측으로 간다.





    570m봉으로 올라가다.

   570m봉




  신풍저수지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조망바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조망을 담고있는 김사장님

   628m봉

   628m봉

    627.3m봉으로 올라가다.

   627.3m봉



    674.7m봉으로 올라가다.



   674.7m봉 주부산 갈림길로 올라가다.


  674.7m봉 주부산 갈림길


   가방을 벗어놓고 주부산으로 간다.



   주부산 가는 길의 축대가 있는 묵은 무덤


   주부산으로 올라가다.

   주부산

   주부산


   축대 무덤을 지나... 647.7m봉 갈림길로 되돌아간다.


   647.7m봉 갈림길로 되돌아왔다.

   647.7m봉 갈림길 이정표




   664m봉


   653.5m봉에서 좌측으로 간다.




   묵은 헬기장


  통신탑

  통신탑에서 우측으로 간다.

  우측으로 내려가는 길의 선답자 띠지들....

   통신탑을 뒤돌아보다.

   568m봉으로 올라가다.


   568m봉



    577.6m봉



   안부를 지나




   봉우리를 넘어


   559m봉


  마루금 좌측으로 임도가 따라온다.

  임도 우측 능선이 마루금이다.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725.1m봉



    725.1m봉과 곤방산715.3m(우)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통점재로 간다.

  통점재에서 쉬어간다. 곡성군 오곡면 천덕산 548.6m과 곤방산715.3m으로 가는 갈림길이다.

  통점재에서 출발하며...곤방산과 지리산을 바라보다.

   통점재에서 615.3m봉으로 올라가다.

  통점재 봉우리인 오룩스맵상  615.3m봉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곤방산과 지리산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619.6m봉

   619.6m봉에서 통신탑으로 간다.

   통신탑


  통신탑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725.1m봉

   윗 사진 우측 :  725.1m봉 - 곤방산 능선

   윗 사진 우측 : 지리산 능선이 멀리 보인다.










   618.4m봉으로 올라간다.

   618.4m봉

   618.4m봉의 삼각점




묘지로 내려가며...죽곡면 천덕산 673.7m-오봉산566.5m-바루봉 459.5m으로 가는 664.1m봉인가?

  죽곡면 천덕산 673.7m-오봉산566.5m-바루봉 459.5m으로 가는 664.1m봉인가?





   622m봉으로 올라가다.

  622m봉

   622m봉을 뒤돌아보다.


  619.6m봉을 지나면 철조망이 나온다.

  무조건 철조망을 넘어가야 한다. 철조망 바깥으로는 진행하기가 너무 힘들다. 잡목투성이여서....

  철조망을 넘어 안쪽으로 가도... 숲은 무성하나 길은 좋다.


  철조망 곁으로 간다.


  죽곡면 천덕산으로 가는 능선을 바라보다.

  죽곡면 천덕산 갈림봉을 지나 좌측으로 가다. 물론 철조망 안쪽이다.



  송전탑이 보이는 곳에서 철조망을  넘어 바깥으로 나간다.


  송전탑

  철조망은 좌측으로 가다. 철조망을 벗아나며... 송전탑을 뒤돌아보다.

  마루금 좌측 사면으로 갔다.


  언양 김씨 묘지로 내려가다.

   관리를 하지 않은 언양김씨 묘지를 뒤돌아보다.




  재를 지나




   469.3m봉










  묘지를 지나


  567.7m봉으로 올라가다.

   567.7m봉




  이장해 간 묘터로 올라간다.

  묘터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322.3m봉으로 올라가다.

   322.3m봉



   322.3m봉의 묘지를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322.3m봉

  묘지 진입로로 내려가다.




  섬진강 건너편의 형제봉 - 천왕봉 - 국사봉 능선 

   윗 사진 우측


  전기 철선을 넘어 과수원능선으로 내려가다.



  섬진강을 내려다보다.

  섬진강 예성교를 내려다보다. 통신탑 능선으로 내려간다.

  가파른 과수원 내림길이다.






  통신탑 곁으로 내려가다.


   섬진강을 내려다보다.

   뒤돌아보다.

  보성강 위의 압록교와 섬진강을 내려다보다.


  농부아저씨가 감나무를 손질하고 있다.

  능선으로 직진으로 내려간다.

  국사봉을 바라보다.

  보성강 압록교와 섬진강의 합수점을 내려다보다.

   곡성군 오곡면 압록리와 섬진강을 내려다보다.

   윗 사진 우측 ;

  윗 사진 우측 : 섬진강의 예성교

   직진으로 내려가다.

 

 

  바로 철도 하부 통로로 내려 갈 수가 없어서 좌측 동네로 돌아간다.

   압록교회 앞으로 간다.

  압록교회앞에서 뒤돌아보다.

  철도로 내려가서 우측으로 간다.

   우측으로 간다. 저 능선에서 바로 내려와야 하는 데,.. 내려 올 수가 없어서 우회를 했다.


  큰 길로 내려가서 우측 압록 사거리로 간다.

  큰길로 내려와서


   우측 압록사거리로 간다.



   섬진강 윗 예성교

  압록유원지에 버스가 대기중이여서 압록교로 간다.

   압록교

  예성교

  윗 사진 우측

  압록교

   윗 사진 우측

  보성강의 돌다리

  윗 사진 좌측 : 보성강의 돌다리

   좌우 어느쪽이든 압록교 아래 유원지로 내려간다.

   보성강과 섬진강의 합수점인 압록 유원지로 내려간다.






  보성강 압록교 아래 압록유원지의 전경

   윗 사진 우측 : 보성강과 섬진강의 합수점과 예성교

  윗 사진 우측

  윗 사진 우측 : 파출소에서 유원지로 내려온 곳.

압록교 아래 식수대에서 호스로 물을 뒤집어쓰고 시원하게 씻고 땀에 젖은 옷을 갈아입다.

이렇게 통명지맥도 마무리 했으나, 1구간은 일요일에 하는 통에 답사를 못해서 아쉽다. 언젠가 할 날이 올까?

통명지맥3구간(불노치~압록유원지)__20170527_1025[1].gpx
0.1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