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지맥2구간(오목재-첨찰산-수리봉-왕고개(왕무덤재)-남산-불운재(칠전고개))

2017. 2. 26. 20:53지 맥(분맥)/진도 산줄기

진도지맥 2구간

 

오목재-첨찰산-수리봉-왕무덤재(왕고개)-남산-불운재(칠전고개). 오룩스맵 상15.55km, 5시간 20분 소요.

 

2017년 2월 25일 토요일 , 산악랜드 회원들과 함께(회비 40,000원)....진도는 남녁지방이라 날씨는 따뜻했으나 운무에 휩쌓여 원거리 조망이 없는 날씨였다.

 등산로는 소문난 것보다 잘 정비되어 있었고, 왕고개에서 불운재까지 안 좋았으나, 그 정도는 어느 지맥길이든 그렇지 뭐... 여름보다는 남쪽은 겨울에 다녀야 된다.


진도지맥 2구간.gpx파일

진도지맥2구간(오목재-불운재)__20170225_1130[1].gpx







   06시 40분 사당역 출발하여 양재 죽전 신갈을 경유하여 회원들을 태우고 전라남도 진도군으로 간다.

  오목재 ;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2-7

   오목재에서 들판이 마루금이므로, 도로를 따라 진도 진길성당으로 간다.

  진도 진길성당 앞으로 가며... 출일봉에서 제실로 내려와서 오목재로 이어진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마루금은 출일봉-오목재 제실-농가의 장독대- 파란 대파밭-장흥임씨 제실로 이어지나, 장흥임씨 제실까지 길로 간다.

    진도 진길성당 앞으로 가다.

  진도는 날씨가 따뜻하여... 한 겨울철에도 배추가 자라 이렇게 수확하고 있다.

    출일봉-오목재 제실-농가의 장독대- 파란 대파밭 배추밭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장흥임씨 제실 옆으로 올라간다.

  장흥임씨 묘지로 올라간다.

  가파르게 올라간다.

   아랫 묘지들은 벌초를 하고 관리를 했던데... 벌초를 하지 않은 통정대부 묘지로 올라간다.

  통정대부 長興任公 潤윤 묘지석

  가파른 오름길이다.


   오룩스 맵상 99.4m봉으로 올라가다.

  오룩스 맵상 99.4m봉.

   오룩스 맵상 99.4m봉에서 내려가서 가야 할 봉우리.



  전망바위에 올라... 고성리 오일시 마을을 뒤돌아보다. 희미한 고두산(좌) 챙재로 내려 온 마루금이다.

  전망바위


  가파르게 올라채니,,,, 정비된 등산로가 나온다.

   양호한 등산로가 나온다.

  등산로 곁으로 후박나무인지 묘목이 심겨저 있다.

    오룩스 맵상 314.5m봉으로 올라가다.

  오룩스 맵상 314.5m봉


  임도로 올라가다.

  임도 윗 봉우리가 395m봉이고, 첨찰산 갈림봉이다. 마루금은 우측으로 가나, 첨찰산에 다녀오기로 한다.

  임도따라 첨찰산으로 간다.

  첨찰산에 다녀와서..395m 첨찰산 갈림봉으로 올라갈 능선을 뒤돌아보다.

    첨찰산으로 간다.

  임도에서 우측 능선으로 올라간다.

   우측 능선으로 올라간다.

   쉼터가 있고, 운림산방 쌍계사에서 올라오는 등산로와 만나다.

   넓적바위에서 더 내려가면 쌍계사 등산로 입구이다.

    쉼터에서 첨찰산으로 올라가다.

  가파른 오름길, 계단으로 올라간다.


   계단위로 올라

  완만하게 가다

   다시 계단으로 올라간다.

   계단으로 올라가며...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윗사진 우측 : 출일봉 오목재와 竹祭山으로 올라오는 능선

   윗사진 우측 : 竹祭山죽제산 능선 (竹察山이라 한 산행기도 있다).

   윗사진 우측 :  기상대로 올라오는 임도

   윗사진 우측 :  가야 할 첨찰산

   윗사진 우측 : 첨찰산과 덕신산 방향

    윗사진 우측 : 쌍계사 계곡아래로 사천저수지가 보이고 우측능선은 가야 할 수리봉 능선이다.

   윗사진 우측 :  첨찰산 갈림봉으로 되돌아 가서, 가야 할 수리봉

    윗사진 우측 :  첨찰산 갈림봉을 뒤돌아보다.

   계단으로 올라와서...오룩스맵상 443.3m봉으로 올라간다.

   오룩스맵상 443.3m봉

    오룩스맵상 443.3m봉에서 좌측 동쪽 죽제산을 바라보다.

   전망바위에서 진도 기상대와 첨찰산을 바라보다.

    전망바위에서....좌측 동쪽 죽제산을 바라보다.

   윗사진 우측 :  진도기상대로 올라가는 도로

   윗사진 우측 :  진도기상대

   윗사진 우측 :  가야 할 첨찰산

  전망바위에서 내려오다.

  첨찰산으로 올라가다.

  첨찰산에서 벌써 내려오시는 선두 박대장님.

  동백나무가 꽃망울을 머금었다.


  첨찰산으로 올라가다.

    尖察山(尖뾰쪽할 첨, 察살필 찰)의 전경


    尖察山

   尖察山에서 바라 본 진도 기상대

     尖察山






    尖察山에서 첨찰산 갈림봉으로 되돌아가다.

    전망바위를 바라보다.

   443.3m봉 아래 전망바위 곁으로 올라가다.

   계단으로 내려가며....

   첨찰산을 뒤돌아보다.

    윗사진 우측 :  쌍계사로 내려가는 삼선암골과 가야 할 수리봉

   윗사진 우측 :  첨찰산 갈림봉으로 되돌아가서 ... 가야 할 마루금인 수리봉 능선

   윗사진 우측 :  첨찰산 갈림봉으로 되돌아가다.

    윗사진 우측 :  출일봉 오목재와 竹祭山으로 올라오는 능선

     윗사진 우측 : 竹祭山

   계단으로 내려가다.

   쌍계사 갈림길 쉼터에서 우측 도로로 내려간다.

  도로로 내려와서 첨찰산 갈림봉으로 올라간다.

  뒤돌아보다.

    첨찰산 갈림봉으로 올라간다.

    첨찰산 갈림봉으로 올라간다.

   첨찰산 갈림봉 395m

   첨찰산 갈림봉에서 좌측으로 간다.

  보리수나무 곁으로 내려가다.

  임도로 내려가다.

  임도로 계속가도 되나, 마루금에 충실하기 위해 좌측 능선으로 올라 간다.

  능선 마루금으로 올라가며... 첨찰산 갈림봉을 뒤돌아 보다.

   오룩스 맵상 361.3m봉으로 올라가다.

    오룩스 맵상 361.3m봉으로

    오룩스 맵상 361.3m봉

  오룩스 맵상 361.3m봉에서 내려가며,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369.4m 암봉으로 올라가다.

   369.4m 암봉

   369.4m 암봉에서 내려가다.

  가야 할 수리봉을 바라보다.


  임도로 내려가다.

  임도에서 능선으로 올라가다.

   임도에서 능선으로 올라가다.

  체류형 등산로... 모세의 기적이라는 모도와 회동의 신비의 바닷길 회동전망대까지 등산로가 돼있는 모양

  수리봉을 향하여 가다.



  수리봉으로 올라가다.


  수리봉 388.5m

   수리봉에서 ... 사천저수지와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가야 할 마루금과 진도 읍내 방향.... 운무가 짙하게 껴서 희미하다.

   윗 사진 우측 : 진도 읍내와 읍내뒤산인 북산 299.9m 철마산 303.9m이 희미하다.

   주위를 살펴보고... 수리봉 암봉에서 내려오다.

  암봉에서 내려가다.




   공설운동장 방향으로 간다,



   371.6m봉으로 올라가다.

    371.6m봉

    371.6m봉에서 내려가며....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371.6m봉 능선의 부처손 바위

   371.6m봉 능선의 부처손 바위에서 내려와서 뒤돌아보다.

   임도로 내려가다.


  임도로 내려와서, 뒤돌아보다.


   임도로 와서, 우측능선으로 올라간다.

    우측능선으로 올라간다.

   봉우리에 올라

   봉우리 넘어가면 무덤이 있다.


    무덤에서 내려가서

   임도를 건너가다.

  임도를 건너 공설운동장 방향으로 간다.


  편백나무 숲을 지나가다.  우측능선이 마루금이나 편백나무 숲으로 등산로가 나 있다.

  편백나무 숲을 지나 ... 잡목이 우거진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잡목이 우거진 마루금을 피하여 편백나무 숲 등산로로 내려왔다.

   진도읍 동외리와 의신면 사천리 운림산방로로 연결되는 고개를 건너간다.

  동외리와 사천리 논수동 사천 일 저수지로 연결되는 고개의 이정표

  고개에서 내려 온 길을 뒤돌아보다.

   사천리 논수동 사천일저수지 방향으로 동내 아주머니 한 분이 내려가신다.

  고개를 건너

   개념도상 180m( 오룩스맵상 166m봉)으로 올라간다.


    개념도상 180m( 오룩스맵상 166m봉)으로 올라가서 좌측으로 간다.

   개념도상 180m( 오룩스맵상 166m봉)의 이정표 ... 공설운동장 갈림길이다.

   개념도상 180m( 오룩스맵상 166m봉)을 뒤돌아보다.

   쉼터로 간다.


   쉼터로 간다.

    쉼터 정자.

    쉼터 정자에서 우측으로 진도읍내 공설운동장을 바라보다.

    진도읍내 공설운동장을 당겨보다.

   의신면 사천리 논수동 방향으로 가는 도로.

   윗 사진 우측 : 올라가야 할 마루금...우측 도로로 내려가면 진도읍내 공설운동장이 나온다.

  능선으로 올라가며... 쉼터 정자를 뒤돌아보다.



  226.3m봉으로 올라가다.


  226.3m봉으로

   226.3m봉

    226.3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며... 뒤돌아보다.

    226.3m봉에서 내려가서 올라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봉우리로 올라가다.

   봉우리로

    봉우리에서 내려가며....뒤돌아보다. 


  가파르게 내려가서

  오룩스맵상 205m봉으로 올라가다.

  마루금 우측의 진도 공설운동장 윗 골자기와 능선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수리봉에서 내려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오룩스맵상 205m봉

    오룩스맵상 205m봉을 뒤돌아보다.

   오룩스맵상 205m봉에서 내려가다.


   146m봉으로 간다.

   146m봉에서 고개로 내려가다. 지도상 '양미굴'이라 표기된 곳이다.

    지도상 '양미굴'이라 표기된 고개를 건너가다.

    고개를 지나 146m봉을 뒤돌아보다.


  고개를 지나 188.4m봉으로 올라가다. 등산로가 험악해지기 시작하다.

   188.4m봉


   188.4m봉에서 내려가다.




   왕무덤재(왕고개)로 내려가서 올라가야 할 남산 방향을 바라보다.



   왕무덤재(왕고개) ; 도로 절개지를 좌측 주유소있는 곳으로 우회하여 내려가야 한다.

  주유소 뒷편 길로 우회하여 내려왔다.


    왕무덤재(왕고개)

   왕무덤재(왕고개)... 진도읍과 의신면의 경계이다.

    고개에서 직진으로 못 올라가므로 의신면 침계리 방향으로 가며...왕무덤재(왕고개)을 뒤돌아보다.

   왕무덤재(왕고개)의 주유소... 우측 능선쯤에 고려 삼별초의 왕온 무덤이 있다.

   윗 사진 우측 : 왕무덤재(왕고개)...저 능선쯤에 고려 삼별초의 왕온 무덤이 있다.

    왕고개에서 '백호화실' 방향으로 우회하여 우측 마루금으로 간다.

    하종선의 '백호화실'      왕고개에서 '백호화실'로 우회하여 올라가며... 주유소를 뒤돌아보다.

    '백호화실' 뒤편으로 우회하여 우측으로 가서 마루금에 접속한다.

  마루금에 접속하여.... 왕고개와 주유소를  뒤돌아보다.

  이제부턴 거의 등산로가 없고 잡목이 우거지다.


  남산 갈림봉으로 올라가다.

   마루금 우측의 진도읍내 뒷산인 북산과 철마산을 바라보다.

  잡목을 헤치며 남산 갈림봉으로 올라가며... 왕무덤재와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급경사의 암벽 오름길이다.


   급경사의 암벽 오름길이다.


  남산 갈림봉으로 간다.

   바위위에서 쉬어간다. 간식을 먹으며... 가야 할 282.2m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좌측 아래에 있는 斜川一貯水池 (사천일저수지)을 당겨보다.

   남산 갈림봉으로 올라간다.

   남산 갈림길.

   남산 갈림봉인 암봉에서 남산 243.3m을 바라보다.

  윗사진 우측 ; 진도 읍내와 그 뒷편 북산과 철마산

   윗사진 우측 ;  왕무덤재와 사천치 진도 운림산방 방향

  남산에 다녀 오는 선두그룹

   남산으로 올라가다.

   남산 243.3m을 지나 240.7m 삼각점봉으로 간다.

    240.7m 삼각점봉으로 간다.

   240.7m 삼각점봉.

    240.7m 삼각점봉.

   240.7m 삼각점봉에서 진도읍내와 그 뒷편 북산과 철마산을 바라보다.

   240.7m 삼각점봉... 삼각점을 찾아봐도 못 찾았다.


  남산 갈림봉인 암봉으로 되돌아왔다.

    남산 갈림봉인 암봉 아래에서 급경사로 우측으로 내려간다.

   남산 갈림길에서 급경사 마루금으로 내려가며... 뒤돌아보다.

  삼나무 숲으로 내려가다.

   쓰러진 삼나무 등걸을 넘어 내려간다.

   쓰러 삼나무 등걸

  어린 삼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삼나무 숲의 안부를 지나

     잡목속을 뚫고 진행한다. 여름철에는 다니기 어렵겠다.

   잡목 숲을 이리저리 피해

   묘지 울타리도 지나... 개념도상 245m봉(오룩스맵상 212.5m)으로 올라가다.

   개념도상 245m봉(오룩스맵상 212.5m)

   개념도상 245m봉(오룩스맵상 212.5m)에서 좌측 방향으로 내려가다.

   좌측 방향으로 내려가다.

  안부로 내려가서...282.2m봉으로 간다.

   282.2m봉으로 올라간다.


   지나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전망바위를 지나

   282.2m봉으로 올라간다.

   282.2m봉

   쓰러진 나무에 달려있는 282.2m봉의 표지.

   282.2m봉 능선의 암봉

   282.2m봉 능선의 암봉을 뒤돌아보다.




   224.2m봉

   224.2m봉에서 내려가며... 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232.2m봉으로 올라가다.

   232.2m봉




  잡목이 우거진 마루금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와서... 우측의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잡목이 우거진 우측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우회하여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232.2m봉을 뒤돌아보다.



  얕으마한 봉우리에 띠지를 달고 가시는 김이환님


  내려가서 올라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안부를 지나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올라가다.


  조공 묘


  170.2m봉으로 올라가다.

   170.2m봉이 영매산이란다.

   170.2m봉에서 우측으로 팍 꺽어가며... 뒤돌아보다.

   170.2m봉에서.... 다음에 와서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오늘의 산행 날머리 불운재와 다음에 와서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가야 할 95m형제봉 갈림봉과 그 뒷편 형제봉 114.9m과 칠전리를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칠전리 방향

   잡목을 헤치며 내려가며.... 큰나무 한 그루가 있는 114.9m 형제봉을 바라보다.






  95m 형제봉 갈림봉... 마루금은 좌측으로 내려간다. 직진으로 114.9m 형제봉에 다녀오기로 한다.

   114.9m 형제봉으로 올라가다.


   114.9m 형제봉으로 올라가며... 170.2m 영매산과 95m 형제봉 갈림봉을 뒤돌아보다.

  윗 사진 우측 : 95m 형제봉 갈림봉에서 진행해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불은재를 바라보다.

   114.9m봉으로 간다.

    114.9m봉 의자

불운재에서 다음에 와서 가야 할 마루금을 바라보다.  삼막봉 방향

윗 사진 우측 :  칠전리 들녁

윗 사진 우측 :  천망저수지와 대곡산 방향 

  윗 사진 우측 : 천망저수지와 대곡산 방향 

   윗 사진 우측 :  칠전리 방향 

114.9m봉  형제봉

114.9m봉의 큰 소나무 한 그루

95m 형제봉 갈림길로 되돌아가다.

윗 사진 우측 : 형제봉 갈림에서 불운재로 가는 마루금을 바라보다.

995m 형제봉 갈림길로 되돌아 왔다.

   95m 형제봉 갈림길

    95m 형제봉 갈림길에서 내려가다.

 폐 무덤으로 내려가다.

  

밭으로 건너가서 앞 능선으로 올라가야 하나 숲이 우거져서 좌 우 도로를 이용하여 간다.

 

 

  밭에서 우측의 114.9m 형제봉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형제봉에 다녀 온 능선

   윗 사진 우측 :  형제봉 갈림길에서 내려 온 능선을 뒤돌아 보다.

   윗 사진 우측 :  영매산을 바라보다.

    윗 사진 우측 :  의신면 창포리 방향

   윗 사진 우측 :  밭에서 직진 능선이 마루금이나 능선 좌 우측 도로로 편하게 간다.

   마루금 좌측 길로 가서 우측 마루금을 넘어갔다.

     우측 마루금을 넘어간다.  

   넘어 온 마루금을 뒤돌아보다.

    마루금 우측 길로 내려가다. 산악랜드 김부장이 기다리고 있다.

   마루금 우측 길을 뒤돌아보다. 밭에서 처음부터 마루금 우측 길로 내려올 것을.....

   불운재에서 기다리고 있는 버스가 보인다.

   윗 사진 우측 : 음에 와서 가야 할 봉우리를 바라보다.

    마루금인 능선을 뒤돌아보다.  저 능선 좌측 길로 왔다.

   먼저 내려 온 동료들이 불운재에서 땀을 싰고 옷을 갈아 입고 있다.

   불운재 : 다음에서 와서 산행을 시작할 들머리

   불운재 : 후미가 모두 내려오기를 기다려 모두 하산하자......

의신면 칠전리 1258번지, 천망저수지 곁 넓은 공터으로 가서 뒷풀이를 하고 서울로 귀경하다.

진도지맥2구간(오목재-불운재)__20170225_1130[1].gpx
0.09MB